히브리어 문법

명사 ④ _ 연계형, 절대형 명사

여리엘 2024. 6. 28. 16:36

(1)           הוּא אִישׁ 그는 사람이다

(2) הוּא אִישׁ־אֱלֹהִים 그는 하나님의 사람이다

위의 두 문장에 있는 단어 אִישׁ(이쉬, 사람)는 같은 단어이지만 형태가 다르다. (1)은 절대형 명사이고 (2)은 연계형 명사이다. (2)은 אֱלֹהִים(엘로힘)과 אִישׁ(이쉬)가 막켚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복합적 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이쉬와 같이 종속된 단어를 가리켜 연계형(명사)이라고 하며, 엘로힘을 절대형(명사)라고 한다.

이 연계형 명사와 절대형 명사에 대해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히브리어 명사는 격표시가 없다. 그래서 연계형 명사와 절대형 명사를 나열함으로써 속격(소유격)을 표시한다.

2. 쓰는 순서는 히브리어 어순으로, 연계형 명사가 앞에 오고 뒤에 절대형 명사가 온다.

3. 연계형 명사는 3개나 4개의 명사에까지 확장시켜 사용할 수는 있겠지만, 4개나 그 이상의 명사들에 쓰인 예는 아주 보기 드물다.

4. 막켚(-)으로 연결하여 속격(소유격)을 표현할 수도 있다.

5. 연계형 명사와 절대형 명사로 묶이면 한 단어로 취급된다. 그래서 연계형 명사는 강세를 잃게 되고 모음의 변화가 온다. (한 단어에 강세는 한 개)

6. 연계형이 되어 강세를 잃으면 모음은 모두 단모음이 된다. 개음절은 쉐바가 되고 폐음절은 단모음으로 돌아간다. 단모음은 אֻ ,אֶ ,אִ ,אַ (파타흐, 히렉, 세골, 키부츠)이다.

7. 순장모음은 변화가 없으며, 세골형 명사 단수는 연계형과 절대형이 동일한 형태이다.

8. 영어의 "of"처럼 "~의"라고 해석한다.

9. 단순하게 보면, 하나의 명사가 다른 명사를 수식하는 관계를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10. 절대형 명사는 앞에 있는 연계형 명사를 한정하거나 속성을 나타낸다.

11. 연계형 명사는 연계형, 구속형, 지배받는 명사 등으로도 불리며, 절대형 명사는 절대형, 독립형, 지배하는 명사 등으로 불린다.

12. 연계형 명사와 절대형 명사 사이에는 정관사 외에 다른 것은 끼어들 수 없다. ex) 형용사

13. 정관사는 절대형 명사 앞에만 올 수 있으며, 절대형 명사가 한정되면 연계 구조 전체가 한정된다.

      סוּס מֶלֶךְ    한 왕의 한 수말       סוּס הַמֶּלֶךְ 그 왕의 그 수말

14. 절대형 명사 자리에 고유 명사가 오거나 인칭 대명사 소유격에 의해 이미 한정된 경우에도 연계 구조 전체가 한정된다(박미섭).   סוּס דָּוִד 다윗의 그 말          סוּס מַלְכִּי 나의 왕의 그 말 (מֶלֶךְ에 1인칭 공성 단수 소유격 어미 히렉 요드가 붙은 형태)

15. 뒤에 오는 명사는 한정되지만 앞에 오는 명사가 한정되지 않은 것을 표현하고자 할 때는 전치사 לְ(레)를 이용하며, 이 표현은 더 이상 연계 구조에 속하지 않는다(박미섭).   סוּס לְדָוִד 다윗의 한 말           סוּס לְמַלְכִּי 나의 왕의 한 말

16. 연계 구조는 주로 명사 간의 소유 관계를 표현하지만, 때로는 절대형 명사가 목적어, 재료, 고유 명사 등을 나탠다(박미섭, 9번과 같은 내용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1. יִרְאַת יְהוָה 여호와를 경외함(목적어)
  2. לֵב זָהָב 금으로 된 마음, 금 같이 좋은 마음(재료)
  3. אֶרֶץ כְּנַעַן 가나안 땅(고유 명사)

17. 연계 구조를 통해 최상급을 표현할 수도 있다(박미섭).  שִׁיר הַשִּׁירִים 노래들 중의 노래(아가서)      מֶלֶךְ מְלָכִים 왕들 중의 왕

* 연계형 명사의 모음 변화는 다음 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