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히브리어 입문

(4) 쉐바

by 여리엘 2024. 3. 1.

2007~2008년(?) 학교에서 배웠고, 갖고 있던 자료를 정리한 것입니다.

단어의 처음이나 중간에 모음이 없는 문자가 있을 때 ‘쉐바’라고 하는 부호( ְ )를 그 문자 밑에 표기한다. 여기에는 단순쉐바와 복합쉐바가 있고, 단순쉐바는 무성쉐바와 유성쉐바로 나뉜다. .

1) 단순쉐바

   (1) 유성쉐바

모음이긴 하나 단모음보다 더 짧은 모음으로 보통 ‘반모음’이라 부르며, 소리를 내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가) 단어의 처음에 쉐바가 올 때, 유성이다.

               예) בְּרֵאשִׁית וְהָאָרֶץ

             * 숫자 ‘둘’(여성 명사)에 대한 다양한 표현은 유일한 예외가 된다.

               예) שְׁתֵּים שְׁתַּיִם שְׁתֵּי 단어의 첫 시작에 쉐바가 위치하지만 무성쉐바이다.

           나) 음절의 처음에 올 때 유성이다. 다음의 두 경우가 이에 속한다.

                ① 두 개의 쉐바가 연속으로 나올 때, 두 번째 쉐바 유성이다. (예)  יִשְׁמְרוּ    הִתְקְטָלָֽה

                ② 다게쉬 포르테가 있는 자음 밑에 쉐바 (예)  הַשְּׁלִשִׁי    וּמְסַתְּרָתָא    מִתְקַטְּלִין

           다) 쉐바 앞에 메덱을 가진 음절이 있을 경우 (예)   וַֽיְהִי

            라) 2개의 같은 자음 중 첫 번째 자음 아래 붙은 쉐바  (예) צִלְלֵי הַלְלוּ

            마) 쉐바 앞에 음절이 장모음(ָ ā / ֵ ē / י ֵ ê/ י ִ î/ ֹ ō / ô / û)일 경우

   (2) 무성쉐바

          가) 음절의 끝에 와서 폐음절을 표시하는 쉐바는 무성쉐바이다.

               예) אַדמָה (x)   אָדְמָה (o)

                     אָדְמָה   יִשְׁמֹר    יִקְרָא    תַּרְדֵּמָה

         ) 두 개의 쉐바가 연속으로 나올 때, 첫 번째 쉐바가 무성이다.(폐음절을 표시하는 쉐바)

                예) יִשְׁמְרוּ הִתְקְטָלָֽה

          다) 한 단어의 끝에 오는 모음 없는 문자에는 원칙적으로 쉐바를 붙이지 않는다. 즉, 단어의 마지막이 폐음절로 끝날 때에 폐음절을 표시하는 쉐바는 붙이지 않는다.

                예) אָדָםְ (x) אָדָם (o)

    예외) ① 카프(כ)가 단어의 끝에 쓰였을 때(ךְ)   (예) וַיֵּבְךְ

             ② 마지막 음절이 2개의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예) וַיֵּשְׁתְּ

 

2)  복합쉐바(합성쉐바)

단순쉐바와 단모음 a, e, o가 합쳐져서 사용된 쉐바를 ‘복합쉐바’라고 부르며, ‘ֲֲ ֲ’(ă, 하텝-파타흐), ‘ ֱ’(ĕ, 하텝-세골), ‘ ֳ’ (ŏ, 하텝-카메츠)가 있다. 음절을 시작하는 첫 자음이 후음이고 모음이 아닌 단순쉐바를 써야 할 때, 후음은 단순쉐바를 취할 수 없기 때문에 복합쉐바를 취한다.

3) 쉐바법칙

히브리어 구조는 계속해서 두 음절이 각각 쉐바로 이어지는 것을 용인하지 않는다. 변화 과정에서 혹은 다른 단어나 요소들이 결합해서 2개의 쉐바가 계속될 때 다음과 같이 대치된다.

'히브리어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브리어 읽기_시편 23편  (0) 2024.03.22
(5) 선입파타흐, 모음문자, 음가소실  (0) 2024.03.10
(3) 음절, 다게쉬, 밀라&밀엘, 메덱, 막켚, 카메츠-하툽  (0) 2024.02.27
(2) 모음  (0) 2024.02.27
(1) 자음  (0) 2024.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