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히브리어 문법

명사 ⑥ _ 연계형 명사의 모음변화

by 여리엘 2024. 7. 22.

이전 글에서 절대형 명사와 연계형 명사를 설명하면서 연계형 명사는 강세를 잃고 모음에 변화가 생긴다고 언급했다. 연계형 명사에서 발생하는 모음의 변화를 명사의 세 가지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려고 한다.

명사 형태별 모음변화를 말하기 이전에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원칙(?)을 먼저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개음절의 모음은 쉐바가 된다.

② 폐음절의 모음은 단모음이 된다. 강세가 없는 폐음절 안에는 장모음이 올 수 없다.

    예) 카메츠 → 파타흐, 쩨레 → 세골, 홀렘 → 카메츠 하툽(강세 없는 폐음절, [o])

③ 순장모음은 변화가 없다.

④ 여성 단수 어미 ה ָ ת ַ로 변한다.

⑤ 복수, 쌍수의 연계형 어미는 י ֵ (체레요드)이다. 복수, 쌍수 어미 자리에 연계형 어미가 들어간다.

⑥ 여성 복수 명사의 연계형은 וֹת 그대로 사용

⑦ 세골형 명사의 복수/쌍수 연계형은 원형 모음으로 돌아간다.

 

1. 일반적인 명사 연계형의 모음변화

1) 단수

절대형
연계형
적용된 기본 원칙
דָּבָר
דְּבַר
①, ②
שָׁלוֹם
שְׁלוֹם
①, ③
מִדְבָּר
מִדְבַּר
מִדְ는 이미 단모음. בָּר의 모음은 카메츠에서 파타흐로 바뀜
סוּסָה
סוּסַת
④, ③
צְדָקָה
צִדְקַת
④, ①
①은 דָ에 적용되었으며, 적용 후 쉐바 법칙에 따라 צִדְ가 되었음

* 쉐바법칙에 대해서는 히브리어 입문 카테고리 "(7) 쉐바법칙" 참고

2) 복수/쌍수

절대형
연계형
적용된 기본 원칙
כּוֹֽכָבִים
כּוֹֽכְבֵי
⑤, ③, ①
צְדָקוֹת
צִדְקוֹת
⑥, ①, 쉐바법칙
עֵינַיִם
עֵינֵי
⑤, ③
דְּבָרִים
דִּבְרֵי
⑤, ①, 쉐바법칙
אֲנָשִׁים
אַנְשֵׁי
⑤, ①, 쉐바법칙

2. 세골형 명사 연계형의 모음변화

1) 단수 : 세골형 명사의 경우 절대형과 독립형 형태가 동일하다.

2) 복수/쌍수      ** 세골형 명사의 복수/쌍수 연계형은 원형 모음으로 돌아간다.

단수 절대형
복수(쌍수) 절대형
복수(쌍수) 연계형
적용된 기본 원칙
מֶלֶךְ
מְלָכִים
מַלְכֵּי
⑦, ⑤
כִּבְשָׂה
כְּבָשׂוֹת
כִּבְשׂוֹת
⑦, ⑥, 쉐바법칙
רֶגֶל
רַגְלַיִם
רַגְלֵי
⑦, ⑤, ②
שֹׁרֶשׁ
X
שָׁרְשֵׁי
⑦, ⑤, ②(카메츠 하툽)
 

'히브리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관사 הַ  (0) 2024.08.04
형용사  (0) 2024.08.01
명사 ⑤ _ 세골명사 (보충: 모음변화)  (0) 2024.07.17
명사 ④ _ 연계형, 절대형 명사  (0) 2024.06.28
명사 ③_세골 명사  (1) 2024.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