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어의 문장은 동사가 있는 문장과 동사가 없는 문장이 있다. 동사가 없는 명사로만 이루어진 문장을 "명사문장"이라고 한다. 명사문장에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 부사, 수사, 전치사구 등의 구성 성분이 올 수 있다. 명사 문장의 단어 순서는 주어-술어 또는 술어-주어이다.
1. 명사문장의 번역
명사문장을 우리 말로 번역할 때, 히브리어에는 없는 단어를 추가하여 번역한다. 영어에서는 주로 'be'동사가 사용되며, 우리말은 '이다', '있다', '되다' 등으로 번역된다. 예를 들자면,
창 45:3 אֲנִי יוֹסֵף 직역 : 나 요셉 / 번역 : 나는 요셉이다
민 20:16 אֲנַחְנוּ בְקָדֵשׁ 직역 : 우리 가데스에 / 번역 : 우리는 가데스에 있다
2. 명사문장의 시제
명사문장은 시제가 따로 없으며, 문맥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명사문장을 번역할 경우에 반드시 문맥을 살펴야 한다.
대하 10:2 הוּא בְמִצְרַיִם 직역 : 그 이집트에 / 번역 : 그는 이집트에 있었다 (과거)
이 명사문장은 2절을 시작하는 동사 וַיְהִי(기본형: הָיָה)에 의해 과거로 해석하게 된다.
창 27:18 מִי אַתָּה 직역 : 너 누구? / 번역 : 너는 누구냐? (현재)
이 명사문장의 경우, 대하 10:2처럼 그 문장에 있는 동사가 시제를 결정하지 않는다. 동사의 시제를 따르게 되면 과거가 되어야 하지만, 이야기 속에서 대화를 주고 받고 있는 문맥임을 고려하여 현재로 번역해야 한다.
창 27:18의 문장을 번역(직역)하면,
그가 그의 아버지에게 나아갔다. 그리고 그가 말했다.
"나의 아버지!" (호격)
그러자 그가 말했다(대답했다).
"내가 여기 있다. 너는 누구냐, 내 아들아!" (명사문장)
* 다음에는 명사문장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인 명사에 대해 준비해서 글을 올릴 예정입니다.
'히브리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 ⑤ _ 세골명사 (보충: 모음변화) (0) | 2024.07.17 |
---|---|
명사 ④ _ 연계형, 절대형 명사 (0) | 2024.06.28 |
명사 ③_세골 명사 (1) | 2024.06.19 |
명사 ②_명사 형태에 따른 모음 변화 (0) | 2024.06.13 |
명사 ① _ 성과 수 (0) | 2024.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