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에 접미사가 붙어서 단어의 음절이 늘어날 경우, 강세가 종음절로 이동하게 된다. 강세의 이동은 모음에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데, 이 모음의 변화를 명사의 세 가지 형태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강세 이동에 따른 모음 변화에 대한 기본 원칙에 대해서는 "히브리어 입문"에 (9)번 글을 참고
1. 카메츠형 명사
카메츠를 모음으로 가진 명사로 강세는 마지막 음절에 있으며, 2음절 이상의 명사이다. 어간의 세 자음 중 어떤 자음이든지 카메츠 모음을 가지고 있는 형태이다.
카메츠형 명사의 예) דָּבָר (말, word) לֵבָב (마음) מִשְׁפַּט (정의) נָגִיד (지도자, 통치자)
2. 세골형 명사
첫 음절에 강세를 가지고 있으며, 어간의 세 자음 중 항상 두 번째 자음의 모음으로 세골을 갖고 있다.
세골형 명사의 예) מֶלֶךְ (왕) סֵפֶר (책) בֹּקֶר (아침)
세골형 명사의 복수형은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는데, (1) 후음이 아닌 자음으로 시작하는 명사와 (2) 후음으로 시자하는 명사이다.

3. 쩨레형 명사
쩨레형 명사는 어간의 세 자음 중 항상 두 번째 자음의 모음으로 쩨레를 갖고 있는 형태이며,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 또는 외래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어간이 3개 이상일 경우가 있다. 쩨레형 명사는 강세 이동에 따른 모음 변화가 카메츠형이나 세골형과 다르게 변한다. 카메츠형이나 쩨레형 명사의 경우, 강세 바로 앞의 개음절은 길어지고 강세에서 먼 개음절의 모음이 쉐바로 바뀐다. 그러나 쩨레형 명사는 이와 반대로 강세 바로 앞의 개음절은 쉐바로 짧아지고, 그 앞에 음절은 길어진다.
쩨레형 명사의 예) כֹּהֵן (제사장) שֹׁמֵר (지키는 자)

* 명사 형태에 따른 모음 변화는 이용호 교수의 히브리어 기초문법 책을 주로 참고하였음
'히브리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 ⑤ _ 세골명사 (보충: 모음변화) (0) | 2024.07.17 |
---|---|
명사 ④ _ 연계형, 절대형 명사 (0) | 2024.06.28 |
명사 ③_세골 명사 (1) | 2024.06.19 |
명사 ① _ 성과 수 (0) | 2024.05.16 |
명사문장 (2) | 2024.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