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히브리어의 강세는 종음절(마지막 음절)에 있다. 그래서 단어에 어미가 붙어서 음절이 늘어나면 강세가 이동하고, 강세의 이동으로 인해 모음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모음 변화의 기본 원칙
강세의 이동으로 인한 모음 변화와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강세는 마지막 음절(종음절)에 있다.
2) 폐음절의 모음은 변하지 않으며, 개음절의 모음이 변한다.
3) 강세 바로 앞(강세 전음절)의 모음은 길어지고, 강세에서 먼 것(강세 전전음절)은 쉐바로 바뀐다.
* 이 강세 법칙이 반대로 적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쩨레형 명사나 동사를 설명할 때 따로 설명할 예정임.

4) 순장모음은 강세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모음이 변하지 않는다.
순장모음 : אֵי (쩨레 요드), אִי (히렉 요드), וֹ (홀렘바브), וּ (슈렉)
5) 음절의 증가, 강세 이동으로 인한 모음 변화는 아래 표를 참고(아래 표의 א(알레프)는 자음의 자리를 표시하기 위한 것)
6) 강세에서 먼 개음절(전전음절)이 쉐바로 바뀌어야하지만, 그 자리에 변칙적인 형태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보통 메덱과 함께 표시된다.
7) 강세의 영향으로 모음이 쉐바로 바뀌어야하지만, 그 음절의 자음이 후음인 경우 복합쉐바를 취한다.
모음 변화의 예
위에서 설명한 기본 원칙만 기억하면 어떤 식으로 적용을 하든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이 원칙을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한 예를 보여주고자 한다.
* 앞으로 문법 설명할 때 사용할 약어 설명 (m. 남성 / f. 여성 / sg. 단수 / pl. 복수)
1. 단음절
1) 남성 명사 단수에서 남성 명사 복수, 여성 명사 단수/복수가 만들어지는 경우

위의 예에서 단음절(m.sg.)일 때 모음은 파타흐였으며, 어미가 붙어서 강세가 2음절로 이동하게 되자 강세 앞에 있던 개음절의 모음이 카메츠(장모음)로 바뀌었다.
2) 남성 명사 단수에서 남성 명사 복수, 여성 명사 단수에서 여성 명사 복수

2. 2음절 단어

* 기본 원칙 : 강세 바로 앞(강세 전음절)의 모음은 길어지고, 강세에서 먼 것(강세 전전음절)은 쉐바로 바뀐다.
דְּבָרִ֫ים 강세 앞의 모음(개음절)은 이미 카메츠로 길기 때문에 더 이상 길어지지 않고 그대로이다.
דְּבָרִ֫ים 강세에서 먼 모음(개음절, 강세 전전음절)은 쉐바로 바뀐다.

* 기본 원칙 : 강세 바로 앞(강세 전음절)의 모음은 길어지고, 강세에서 먼 것(강세 전전음절)은 쉐바로 바뀐다.
순장모음은 강세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모음이 변하지 않는다.
순장모음 : אֵי (쩨레 요드), אִי (히렉 요드), וֹ (홀렘바브), וּ (슈렉)
강세에서 먼 개음절(전전음절)이 쉐바로 바뀌어야하지만, 그 자리에 변칙적인 형태가 나타나는 경우 보통 메덱과 함께 표시된다.
כּֽוֹכָבִ֫ים 강세 바로 앞의 모음은 길어져야 하지만 이미 장모음이기 때문에 변하지 않는다.
כּֽוֹכָבִ֫ים 강세에서 먼 모음(개음절, 강세 전전음절)은 쉐바로 바뀌어야 하지만 순장모음이기 때문에 바뀌지 않으며, 메덱을 사용하여 강세의 영향권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 기본 원칙 : 강세 바로 앞(강세 전음절)의 모음은 길어지고, 강세에서 먼 것(강세 전전음절)은 쉐바로 바뀐다.
폐음절의 모음은 변하지 않으며, 개음절의 모음이 변한다.
מִשְׁפָּתִ֫ים 강세 바로 앞의 모음은 길어져야 하지만 이미 장모음이기 때문에 변하지 않는다.
מִשְׁפָּתִ֫ים 폐음절의 모음은 변하지 않으므로 첫 음절(מִשְׁ)의 모음은 변하지 않는다.

* 기본 원칙 : 강세 바로 앞(강세 전음절)의 모음은 길어지고, 강세에서 먼 것(강세 전전음절)은 쉐바로 바뀐다.
순장모음은 강세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모음이 변하지 않는다.
강세의 영향으로 모음이 쉐바로 바뀌어야하지만, 그 음절의 자음이 후음인 경우 복합쉐바를 취한다.
אֲסִירִ֫ים 강세 바로 앞의 모음은 길어져야 하지만 이미 장모음(순장모음)이기 때문에 변하지 않는다.
אֲסִירִ֫ים 강세에서 먼 모음은 쉐바로 바뀌어야 하지만 후음은 단순쉐바(유성)를 취할 수 없기 때문에 복합쉐바를 취한다.
3. 3음절 이상인 단어
* 생각나는 단어가 없어서 원리만 표시합니다.

* 기본 원칙 : 강세 바로 앞(강세 전음절)의 모음은 길어지고, 강세에서 먼 것(강세 전전음절)은 쉐바로 바뀐다.
אְאְאֵאִים 모음변화 1) 강세 앞의 개음절의 모음은 길어져서 히렉에서 쩨레로 바뀌었고,
강세에서 먼 개음절의 모음 카메츠는 쉐바로 바뀌었다.
אִאְאֵאִים 모음변화 2) 강세에서 먼 개음절의 모음이 쉐바로 바뀌면서 2개의 쉐바가 연속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쉐바법칙이 적용되어 첫 번째 쉐바는 히렉으로 바뀌게 되었다. * 히브리어 입문 카테고리에서 "7) 쉐바법칙" 참고
'히브리어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후음의 특징 (1) | 2024.05.01 |
---|---|
(7) 쉐바 법칙 (3) | 2024.04.11 |
(6) נ 법칙(자음동화) (0) | 2024.04.08 |
히브리어 읽기_시편 23편 (0) | 2024.03.22 |
(5) 선입파타흐, 모음문자, 음가소실 (0) | 2024.03.10 |